함께 간호/간호 지식 & 간호 진로

[간호지식] 정신건강 분야를 전공하는 사람들 필독 원서 도서 BEST 5

스텔라플 2025. 3. 21.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 정신건강 분야를 전공하거나, 정신간호학 공부를 더 깊이 있게 하고 싶은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엄선한 정신과 공부에 꼭 필요한 필독서 5권을 소개해 드립니다.

1.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Concepts of Care in Evidence-Based Practice

(저자: Mary Townsend & Karyn Morgan)

이 책은 미국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정신간호학 기본 교재 중 하나입니다.
DSM-5 기준에 따라 정신질환을 설명하고 있으며, 치료적 의사소통, 간호중재, 약물요법, 윤리적 이슈 등 전반적인 내용을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각 챕터마다 실제 사례와 근거 기반 실무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이론과 임상의 균형을 맞추고자 하는 분들께 적합합니다.

 

추천 포인트: 영어로 정신간호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는 분, PMHNP 준비자에게 강력히 추천합니다.

2. Varcarolis' Foundations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A Clinical Approach

(저자: Margaret Halter)

이 책은 임상 중심의 정신간호학 교재로, 실제 환자 사례를 기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질환별 진단 접근과 간호중재, 환자와의 치료적 관계 형성, 문화적 요소까지 고려한 내용이 인상적입니다.
또한 정신과 약물 간호와 간호과정 작성법까지도 자세히 설명하고 있어 실무 적용에 매우 유용합니다.

 

추천 포인트: 간호사로서 임상 실무에 바로 연결되는 지식을 얻고 싶은 분께 적합하며, 실제 사례를 통해 학습하고 싶은 분께도 추천드립니다.

 

3. The Pocket Guide to the DSM-5-TR Diagnostic Exam

(저자: Abraham Nussbaum)

이 책은 정신질환 진단의 기준인 DSM-5-TR을 실제 임상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정신과 면담을 진행할 때 어떤 질문을 던져야 하는지, 각 진단별 핵심 사정 항목은 무엇인지 등을 포켓 가이드 형식으로 정리하고 있어 매우 실용적입니다.
특히 정신상태검사(MSE)나 진단면담에 자신이 없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추천 포인트: PMHNP 실습을 앞둔 분, 정신진단과 면담을 영어로 준비하고 싶은 분께 강력 추천드립니다.

4. Psychiatric Interviewing: The Art of Understanding

(저자: Shawn Shea)

이 책은 정신과 면담의 기술을 '이해의 예술'로 접근하며, 단순한 정보 수집이 아닌 신뢰와 공감을 바탕으로 한 깊은 인터뷰 기법을 소개합니다.
자살 위험 사정, 트라우마 내러티브 수집, 소아·청소년·노인 환자와의 면담 기술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 활용할 수 있는 스킬이 풍부하게 담겨 있습니다.
치료적 언어의 세심한 사용과 인터뷰 진행의 섬세함이 돋보입니다.

 

추천 포인트: 면담 기술을 보다 깊이 배우고 싶은 분, 인간 중심의 치료적 대화를 실현하고 싶은 간호사 및 상담사에게 추천드립니다.

 

5. Motivational Interviewing: Helping People Change and grow

(저자: William Miller & Stephen Rollnick)

이 책은 변화의 동기를 유도하는 상담 기법인 '동기강화면담(MI)'을 다루고 있으며, 정신건강, 중독, 만성질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상담자가 환자에게 조언하거나 통제하는 대신, 스스로 변화의 이유를 찾고 행동할 수 있도록 돕는 접근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환자의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며 변화의 가능성을 함께 탐색하는 방식은, 특히 자기자비나 자기동기부여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께 큰 도움이 됩니다.

추천 포인트: 정신간호학을 넘어서, 상담과 심리치료에 관심 있는 분께도 매우 유익한 도서입니다.

 

 

이 책들은 단순한 시험 준비용 교재가 아닙니다.
정신건강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세우고, 실제 임상에서 환자와 어떻게 만나야 하는지를 고민하게 만드는 책들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