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
환자들에게 자주 사용되는 약물들의 기전, 부작용, 그리고 자주 쓰이는 약물들을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 1세대 항정신병 약물 (Typical Antipsychotics)
기전:
-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
→ 도파민의 과도한 작용을 억제하여 정신병적 증상(망상, 환각 등)을 완화합니다.
부작용:
- 운동 이상증 (EPS): 떨림, 경직, 운동이상 증상.
- 지연성 운동 장애: 장기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증상.
- 불안, 우울 등의 정서적 부작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
주요 약물:
- Haloperidol (할로페리돌)
- Chlorpromazine (클로르프로마진)
- Fluphenazine (플루페나진)
간단히:
1세대 항정신병 약물은 정신병 증상을 완화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운동 부작용이 가장 큰 단점입니다.
🔹 2세대 항정신병 약물 (Atypical Antipsychotics)
기전:
- D2 수용체 + 5-HT2A 수용체 차단
→ 도파민을 억제하면서 세로토닌을 증가시켜 운동 부작용을 줄이고, 기분을 안정시킵니다.
부작용:
- 대사 부작용: 체중 증가, 당뇨, 고지혈증.
- 운동 이상증 (EPS): 1세대보다는 적지만 여전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약물:
- Risperidone (리스페리돈)
- Olanzapine (올란자핀)
- Quetiapine (쿠에티아핀)
- Aripiprazole (아리피프라졸)
- Clozapine (클로자핀)
간단히:
2세대 항정신병 약물은 운동 부작용을 줄이면서 정신병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체중 증가와 대사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항우울제 (Antidepressants)
1. SSRI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기전: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 뇌에서 세로토닌 농도를 높여서 기분을 안정시키고 불안감을 줄여줍니다.
부작용:
- 불면증, 성욕 감소, 두통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약물 시작 초기에는 불안, 초조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주요 약물:
- Fluoxetine (플루옥세틴)
- Sertraline (설트랄린)
- Citalopram (시탈로프람)
간단히:
우울증과 불안에 주로 사용되며, 세로토닌 농도 증가로 기분을 개선하는 약물입니다.
2. SNRI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기전:
- 세로토닌 +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
→ 우울증과 불안을 개선하고, 에너지와 기분 안정을 돕습니다.
부작용:
- 고혈압, 불면증, 소화기 문제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주요 약물:
- Venlafaxine (벤라팍신)
- Duloxetine (둘록세틴)
간단히:
세로토닌뿐만 아니라 노르에피네프린도 증가시켜서 기분과 에너지를 동시에 개선하는 약물입니다.
🔹 항불안제 (Anxiolytics)
1. Benzodiazepines
기전:
- GABA 수용체 활성화
→ 진정, 항불안, 근육 이완 효과가 있습니다.
부작용:
- 졸림, 기억력 감소, 의존성 (장기 사용 시).
- 급작스러운 중단 시 금단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약물:
- Diazepam (디아제팜)
- Lorazepam (로라제팜)
- Alprazolam (알프라졸람)
간단히:
불안 완화와 진정 효과가 있으며, 장기 사용 시 의존성이 문제될 수 있습니다.
2. Buspirone (부스피론)
기전:
- 세로토닌 5-HT1A 수용체에 작용하여 불안 완화.
부작용:
- 두통, 어지러움, 불면증 등이 있을 수 있지만, 의존성은 없습니다.
간단히:
불안 완화에 효과적이고, 의존성이 없어 장기 사용이 가능합니다.
📚 결론
오늘은 정신과에서 자주 사용되는 약물들을 기전과 부작용을 포함하여 정리해보았습니다.
- 항정신병 약물은 주로 정신병 증상 완화에 사용되며,
- 항우울제는 기분을 안정시키고 불안과 우울증을 치료하고,
- 항불안제는 불안 완화와 진정 효과를 제공합니다.
이해가 쉽게 정리되었기를 바랍니다. 언제든지 도움이 필요하면 말씀해 주세요!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함께 간호 > 간호 지식 & 간호 진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지식]🌙 세로토닌과 기분의 균형 — 세로토닌(5-HT)과 5-HT2A 수용체, 그리고 우리의 기분, SSRI, SNRI 약물의 역할 (0) | 2025.10.23 |
---|---|
[간호진로] 🇺🇸 미국에서 간호 전문직으로 일하고 싶다면? 전문간호사(NP) 대학 입학 준비 & Top 20 추천 학교 (2) | 2025.06.13 |
[간호지식]🔍 “이 논문 어디다 내지?”– 주제가 애매할 때 유용한 저널 + 게재비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5.09 |
[간호연구] 논문 쓰기 전 관문, IRB 접수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들 (2) | 2025.04.25 |
[미국 간호대학원 진학 준비] “에세이 잘 쓰는 법: 나를 담는 글, 진심이 실력을 이깁니다” (0) | 2025.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