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
proBNP (pro-B-type natriuretic peptide)*는 심장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입니다.
심장이 무리해서 늘어나거나 압력을 받는 상황일 때, 심장은 이를 감지하고
proBNP라는 물질을 혈중으로 방출합니다.
이 수치는 주로 심부전(Heart Failure)을 진단하거나,
현재 심장이 얼마나 힘든 상태인지 평가할 때 사용돼요.
🫀 어떤 경우에 proBNP가 높아지나요?
- 심장이 약해져서 혈액을 충분히 펌프질하지 못할 때
- 폐에 물이 차거나, 호흡 곤란 증상이 동반될 때
- 신장이 나빠지면서 proBNP가 몸에 쌓일 때도 있어요
📈 일반적으로 정상은 0~125 pg/mL 미만
→ 하지만 300~900 이상이면 심부전 가능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하죠.
🧪 그럼 proBNP 수치가 높다고 무조건 심장에 문제가 있다는 뜻일까요?
꼭 그렇지는 않아요.
- 폐렴, 패혈증, 암성 흉수, 만성 신부전 같은 다른 질환에서도 수치가 올라갈 수 있어요.
- 특히 암 환자들은 폐에 물이 차거나, 전신 상태가 나빠져도 proBNP가 높아지죠.
즉, 수치 하나만 가지고 판단하긴 어렵고,
심장초음파(Echo), 흉부 CT, 환자의 증상 등을 종합적으로 보는 게 중요해요.
🧾 proBNP와 함께 봐야 할 주요 검사 수치 정리표
구분검사 항목해석 포인트의미 및 연관성
🫀 심장 기능 | Troponin I/T | 상승 시 심근손상 | 심근경색, 심근염 여부 감별 |
CK-MB | 상승 시 심장 관련 효소 활성 | 급성 심근경색이나 근육 손상 | |
LDH (LD) | 전반적 조직 손상 반영 | 심장·간·근육·폐 등 손상 지표 | |
IMA (Ischemia Modified Albumin) | 허혈 상태 평가 | 심근 허혈 조기 지표 | |
🫁 폐 기능 | SpO₂ / ABGA | 산소포화도·산혈가스 | 호흡부전 동반 여부 확인 |
흉부 X-ray / CT | 폐부종, 흉수 여부 | 심부전성 흉수 확인 가능 | |
🔄 순환기 | CRP / ESR | 염증 수치 | 심장질환 외 감염/염증 동반 확인 |
D-dimer | 상승 시 혈전 가능성 ↑ | 폐색전증·심부전 동반 위험 고려 | |
Fibrinogen | 염증, 응고계 활성 상태 | 급성기 반응 단백질 (급성 악화 반영) | |
💧 수분 상태 | BUN / Creatinine | 탈수 또는 신기능 이상 | 신장 기능이 나쁘면 proBNP 상승 가능 |
eGFR | 신기능 여과율 | 낮으면 proBNP 수치 왜곡될 수 있음 | |
체중변화 / I&O | 수분 정체 확인 | 폐부종 동반 여부 판단에 중요 | |
🧬 기타 | Albumin | 저알부민 시 폐부종 심화 | 영양 상태, 염증 동반 시 저하 가능 |
🧭 실제 해석 팁
- proBNP + Troponin 상승 → 심장에 급성 손상이 있음을 의심
- proBNP 높고 Creatinine도 상승 → 신기능 저하로 인한 수치 왜곡 가능
- proBNP 높고 D-dimer 상승 → 폐색전증, 암성 상태 의심 필요
- proBNP 상승 + 흉수 CT/X-ray 확인 → 심부전으로 인한 흉수 가능성 ↑
👩⚕️ 환자가 말하는 증상과 수치는 때로 엇갈릴 수 있어요
숨이 차다고 할 때, 가족들은 보통 "그냥 감기겠지"라고 넘기기 쉽지만
proBNP 수치가 경고를 보낼 수도 있어요.
그래서 저는 오늘, 여러분께 조용히 권해드리고 싶어요.
숨이 찬 증상은 절대 가볍게 보면 안 돼요.
단순한 피곤함이 아니라, 심장이 보내는 마지막 구조 요청일 수도 있습니다.
'스터디 미 > 몸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몸건강] "암환자는 왜 살이 빠질까?" - 악액질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5.07.23 |
---|---|
[몸건강] 크레아틴과 시스타틴 C 수치 상승, 무엇을 의미할까? (0) | 2025.07.21 |
[몸건강] 상대정맥증후군(SVCS) - 암환자에서의 증상 및 치료 방법 (0) | 2025.07.16 |
[몸건강]💡 유방암의 종류와 특징: 유방암의 타입 (0) | 2025.07.11 |
[몸건강] 항암치료와 정상세포: 진실과 오해, 항암치료가 정상세포도 다 죽이나요? (0) | 2025.07.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