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6 [마음건강] 자폐스펙트럼장애 진단 도구: ADI-R vs ADOS-2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ASD)의 진단은 여러 가지 평가 도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그 중에서 ADI-R과 ADOS-2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중요한 검사 도구입니다. 이 두 검사 도구는 자폐를 평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각각의 특징과 사용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ADI-R (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ADI-R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진단을 위한 면담 기반의 도구로, 주로 부모나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해 아동의 발달 이력과 행동을 평가합니다.검사 방법: 부모나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해 아동의 어린 시절 발달 과정을 파악합니다. 이 검사는 아동이 만 4-5세 또는 자폐 특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시기를 바탕으로 자폐 진단을 도와줍.. 스터디 미/마음 건강 2025. 11. 24. 🌿 오늘의 건강 이야기: Off-label 약물 사용이란? 안녕하세요, 여러분! 힐링보입니다. 오늘은 off-label 약물 사용에 대해 이야기해볼 거예요.일상에서 많이 사용되는 약물들이 원래 승인된 용도 외에도 다양한 질환에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Off-label 사용이란?Off-label 사용이란, 약물이 공식적으로 승인된 용도 외의 질환에 사용되는 경우를 말합니다.보통 약물은 FDA(식품의약국)나 EMA(유럽의약청) 등에서 특정 질환에만 승인을 받지만, 임상에서 그 약물이 다른 질환에도 효과가 있다고 증명되면 의사의 판단 하에 사용됩니다.이러한 off-label 사용은 때로 생명을 구하거나, 기존 치료법보다 효과적인 대체치료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승인되지 않은 용도이기 때문에 주의 깊은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Off.. 스터디 미/건강관리_면역력 , 음식, 운동 2025. 11. 22. [마음건강]케타민 치료의 기존과 발전: 정신과 우울증 치료에서의 진화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 케타민 치료가 우울증 치료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준 것은 최근 몇 년 동안의 중요한 발전 중 하나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케타민 치료의 역사와 기존의 마취제로서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은 이 치료법의 진화 과정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이제, 케타민이 마취제에서 우울증 치료제로의 전환을 어떻게 이끌어냈는지 살펴보겠습니다.1. 케타민의 초기 사용과 마취제의 역할케타민은 1960년대에 마취제로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당시의 주요 목적은 안전한 마취를 제공하는 것이었고, 그 후 전신 마취 및 진통제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케타민은 다른 마취제와 달리 호흡 억제나 저혈압을 유발하지 않는 특징이 있었기에, 빠르게 의학계에서 마취제로서 자리를 잡았습니다.그러나, 케타민의 정신과적 .. 스터디 미/마음 건강 2025. 11. 17. [건강관리] “피처럼 붉지만 마음을 맑게 하는 채소, 비트(Beet)의 모든 것!” 💖 오늘의 힐링보 건강레시피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 :)오늘은 예쁜 붉은빛으로 시선을 사로잡는 비트(Beet) 의 놀라운 효능과하루 식단에 쉽게 넣을 수 있는 비트 레시피 4가지 를 함께 소개할게요.🩸 1. 비트의 주요 효능효능설명혈압 조절비트의 질산염(Nitrate)이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안정시켜요.심혈관 건강 강화혈류 개선과 혈전 예방으로 심근경색·뇌졸중 위험을 줄입니다.간 해독 & 항산화 작용베타라인(betalain) 성분이 간세포를 보호하고 독소를 제거합니다.피로 회복 & 운동능력 향상산소 효율을 높여 지구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빈혈 예방풍부한 철분과 엽산이 적혈구 생성을 돕습니다.항암 효과활성산소 제거로 세포 손상을 줄이고 암세포 성장 억제에 도움을 줍니다.🧡 Tip: 하루 100~1.. 스터디 미/건강관리_면역력 , 음식, 운동 2025. 10. 27. [간호지식]🌙 세로토닌과 기분의 균형 — 세로토닌(5-HT)과 5-HT2A 수용체, 그리고 우리의 기분, SSRI, SNRI 약물의 역할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 세로토닌(Serotonin, 5-HT)은 뇌 속에서 기분·수면·식욕·불안 조절을 담당하는 주요 신경전달물질이에요. 우리가 슬프거나, 불안하거나, 충동이 올라올 때 그 중심에는 늘 세로토닌 회로의 불균형이 있습니다.세로토닌이 충분하면 감정이 안정되고, 부족하면 작은 일에도 감정의 파도가 쉽게 요동치게 돼요.🧠 세로토닌(5-HT)이란?세로토닌(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은우리 뇌 속 ‘감정의 온도 조절기’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이에요.주요 역할기분 조절 (Mood regulation)수면 리듬 (Sleep–wake cycle)식욕 및 소화 (Appetite & digestion)통증 조절 (Pain modulation)충동 억제, 불안 조절.. 함께 간호/간호 지식 & 간호 진로 2025. 10. 23. [마음건강] "리튬 vs 세로켈 vs 라투다: 바이폴라 치료에서 어떤 약물을 선택할까?"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오늘은 바이폴라 장애 (조울증) 환자들을 위한 약물 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늘의 주제는 리튬(Lithium), 세로켈(Quetiapine), 그리고 라투다(Lurasidone)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입니다. 각 약물이 어떤 증상에 더 효과적인지, 그리고 환자에게 적합한 약물은 무엇인지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바이폴라 장애를 치료할 때 조증, 우울증, 그리고 정신병적 증상을 어떻게 다룰지에 따라 약물 선택이 달라집니다. 리튬은 기분 안정제, 세로켈은 정신병적 증상과 우울증을 함께 다루고, 라투다는 정신병적 증상과 기분 안정화에 효과적인 약물입니다.리튬 (Lithium)기전:리튬은 기분 안정제로, 조증을 억제하고 기분의 급격한 변화를 안정시키는 데 효과적입니다.Bipolar I .. 스터디 미/마음 건강 2025. 10. 23. [간호지식] 정신과 약물 정리 - 1세대 vs 2세대 항정신병 약물, 항우울제, 항불안제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환자들에게 자주 사용되는 약물들의 기전, 부작용, 그리고 자주 쓰이는 약물들을 한 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1세대 항정신병 약물 (Typical Antipsychotics)기전:도파민 D2 수용체 차단→ 도파민의 과도한 작용을 억제하여 정신병적 증상(망상, 환각 등)을 완화합니다.부작용:운동 이상증 (EPS): 떨림, 경직, 운동이상 증상.지연성 운동 장애: 장기 사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증상.불안, 우울 등의 정서적 부작용도 있을 수 있습니다.주요 약물:Haloperidol (할로페리돌)Chlorpromazine (클로르프로마진)Fluphenazine (플루페나진)간단히:1세대 항정신병 약물은 정신병 증상을 완화하는 데 주로 사용되며, 운동 부작용이 가장 큰 .. 함께 간호/간호 지식 & 간호 진로 2025. 10. 23. [마음건강]🌿 리보트릴·아티반·자낙스, 세 가지 진정의 결 안녕하세요, 힐링보(HealingBo) 입니다. 🌷오늘은 정신건강의학과에서 가장 자주 처방되는 3대 안정제,리보트릴(Rivotril), 아티반(Ativan), 자낙스(Xanax)— 이 세 약의 특징과 차이를 알아보려 해요.이 세 가지는 모두 벤조다이아제핀(Benzodiazepine) 계열로,뇌의 불안 신호를 ‘조용히 낮춰주는’ 작용을 하지만,효과 지속 시간과 작용 강도, 의존성 위험이 조금씩 달라요.🧠 벤조다이아제핀 계열이란?“과열된 뇌를 잠시 식혀주는 GABA의 조력자.”우리 뇌의 신경전달물질 중 GABA(감마아미노부티르산) 는흥분된 신경을 진정시키는 브레이크 역할을 해요.벤조다이아제핀은 이 GABA 수용체를 활성화시켜신경의 과도한 긴장을 완화하고, 불안과 공황을 줄여줍니다.하지만 뇌가 이 “평온한.. 스터디 미/마음 건강 2025. 10. 19. [몸건강]🩸 혈중 칼슘, 얼마나 중요한 걸까? – 수치별 증상 단계로 보는 고칼슘혈증 이야기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우리 몸의 칼슘은 단순히 ‘뼈를 튼튼하게 해주는 영양소’가 아닙니다.혈중 칼슘은 근육 수축, 신경 전달, 심장 박동, 호르몬 분비, 혈액 응고 등생명을 유지하는 거의 모든 과정에 관여하는 핵심 이온이에요.정상적인 혈중 칼슘 농도는 8.5–10.5 mg/dL 정도이며,이 범위 안에서 정교하게 조절됩니다.조금만 벗어나도 몸은 곧바로 이상 신호를 보내죠.⚠️ 혈중 칼슘 수치가 높으면 (고칼슘혈증) 무슨 일이 생길까?칼슘이 과도하게 높아지면 세포의 전기적 안정성이 무너지고,심장, 신경, 신장에 연쇄적인 영향을 줍니다.대표적인 증상과 변화들을 단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아요.① 신경계 변화무기력, 피로, 졸림이 심해져요.심하면 혼수상태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집중력이 떨어지고, 우울감·불안감이.. 스터디 미/몸 건강 2025. 10. 10. [몸건강]🤧 목구멍 간질간질, 감기 전조증상일까? + 코가 목으로 넘어갈 때 대처법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아침저녁으로 선선해지는 간절기, 목구멍이 간질간질하면서 기침이 나오려는 느낌 때문에 걱정되신 적 있으신가요? 오늘은 감기 전조 증상일 때와 후비루(코가 목으로 넘어가는 증상)에 대해 함께 알아보고, 대처법도 정리해 드릴게요.🔎 목구멍 간질간질, 원인감기 초기바이러스가 인두 점막을 자극하면서 간질거림이 시작될 수 있어요.보통 1~2일 안에 기침, 콧물, 미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알레르기 반응계절성 꽃가루, 먼지, 진드기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열은 없고 맑은 콧물, 눈·코 가려움이 동반되기도 해요.건조한 공기점막이 건조해져 자극이 생기면 목 간질거림이 나타납니다.🔎 코가 목으로 넘어가는 증상(후비루)코 속에서 만들어진 점액이 목 뒤로 흘러내리는 현상입니다.원인: 알레르기 비.. 카테고리 없음 2025. 9. 30. [마음건강] 💤 수면제, 제대로 알고 쓰기 — 수면제의 종류·작동 원리·부작용과 안전한 사용법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오늘은 많은 분들이 한 번쯤은 궁금해하시는 수면제 이야기를 풀어보려고 합니다.잠은 우리의 뇌와 몸을 회복시키는 필수 과정인데, 불면에 시달리다 보면 약에 기대고 싶을 때가 있죠. 하지만 수면제는 ‘잠을 재워주는 마법의 약’이 아니라, 올바르게 사용해야 하는 ‘도구’랍니다.1. 수면제는 왜 필요할까?불면은 단순히 피곤함을 넘어서 우울, 불안, 집중력 저하, 사고 위험까지 이어집니다. 수면제는 단기적으로 이런 고통을 줄여주지만, 근본 원인을 해결해주지는 않아요.2. 수면제의 종류와 작용 원리벤조디아제핀 계열: 신경을 억제해 잠을 유도. 효과 빠르지만 내성·의존 위험이 큼.Z-약물(졸피뎀 등): 수면 유도에 특화, 비교적 안전하나 몽유병 같은 이상행동 가능.항우울제 저용량: 우울·불안.. 스터디 미/마음 건강 2025. 9. 24. [건강관리]🌿 스트레스, 색다르게 다루는 법 (전문적 + 오행 해석)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 ✨스트레스 관리라고 하면 흔히 운동이나 명상 이야기를 많이 하죠.오늘은 조금 다른 시선에서,👉 심리학적 근거 + 사주 오행 관점을 함께 엮어 스트레스 관리법을 나눠보겠습니다.1. 스트레스 = 몸과 뇌의 경보 시스템스트레스는 단순한 기분이 아니라, 우리 몸이 보내는 경보 신호예요.코르티솔·아드레날린 같은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지금 대응하라”는 메시지를 주죠.👉 문제는 이 경보가 너무 자주 울릴 때예요.따라서 스트레스는 적이 아니라, 조율해야 할 경보기입니다.2. 오행(五行)과 스트레스 관리사주에서는 사람마다 불(火)·물(水)·나무(木)·금(金)·흙(土)의 기운이 균형 있게 있기도 하고,부족하거나 과할 수도 있어요.스트레스 해소법도 이 오행의 성향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수 있습.. 스터디 미/건강관리_면역력 , 음식, 운동 2025. 9. 18. 이전 1 2 3 4 ··· 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