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8 [건강관리] 🧂나는 짜게 먹는 편일까? 나트륨 섭취, 얼마나 해야 적정할까? ❓내가 짜게 먹는 편인지 궁금하다면?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아침에 김치 없이는 밥이 안 넘어가고,국은 꼭 간이 진해야 먹을 맛이 나는 분들 많으시죠?그런데 과연 나는 짜게 먹는 사람일까?그 기준은 어디에 있을까요?📏 나트륨 섭취, 얼마나 해야 적정할까?✅ 세계보건기구(WHO) 기준하루 나트륨 섭취 권장량: 2,000mg 이하(→ 소금으로 환산하면 약 5g, 즉 티스푼 1개 분량 정도)✅ 한국인 평균 섭취량 (질병관리청, 2021 기준)하루 평균 3,200~3,500mg → 권장량의 1.5~1.7배 수준!✅ 참고: 음식 속 나트륨 예시음식나트륨 함량김치 100g약 670mg라면 1개1,700~2,000mg된장국 1인분약 1,000mg국물 떡볶이 1인분약 1,800mg된장찌개+밥+김치 구성2,500mg 이.. 스터디 미/건강관리_면역력 , 음식, 운동 2025. 5. 14. 전립선암 치료제 ‘얼리다(Erleada)’와 함께 알아보는 전립선암 케어 방법, 얼리다를 복용하면서 PSA 수치가 안정적이면 내성으로 부터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힐링보입니다 🌿전립선암에 대해 궁금하셨던 분들 많으시죠?오늘은 전립선암이란 어떤 질환인지,치료제 ‘얼리다(Erleada)’는 어떻게 작용하는지,그리고 일상 속에서 전립선암 환자를 어떻게 돌볼 수 있는지조금 더 쉽게, 객관적인 정보로 정리해드릴게요.가족 중에 전립선암을 겪고 계신 분이 있거나,직접 관리 중인 분들께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그럼 함께 알아볼까요?1. 전립선암이란?전립선암은 남성의 생식기관 중 하나인 전립선에 생기는 악성 종양으로,특히 고령 남성에서 흔하게 발생하며,초기에는 뚜렷한 증상이 없어 조기 발견이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2. 전립선암의 분류와 진행 단계전립선암은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로컬라이즈드(Localized): 전립선 내에 국한된 상태로컬리 어드밴스드(.. 스터디 미/몸 건강 2025. 5. 13. [간호지식]🔍 “이 논문 어디다 내지?”– 주제가 애매할 때 유용한 저널 + 게재비까지 한눈에 정리!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 논문을 완성하고 나면 꼭 부딪히는 질문 하나.“이걸 어디에 내야 하지…?”특히 융합적 주제는 전공 저널에도, 특화 저널에도 딱 맞지 않아저널 스코프(범위)가 애매할 수 있어요.그래서 오늘은,“스코프가 애매한 논문을 포용하는 저널 7선”직접 경험 + 리서치 기반으로 소개합니다!1. PLOS ONE스코프: 생명과학, 간호, 공공보건, 심리학 등 전방위APC (게재료): $1,690 (약 230만 원)장점: 주제보다 연구 방법과 윤리성 중시, 실용적이고 빠른 피드백2. BMC Nursing (BioMed Central)스코프: 간호 전반 (임상·교육·정신간호·조직 등)APC: £1,790 / €2,090 / $2,390 (약 330만 원)장점: 간호사 경험, 직무환경 연구 등도 환영.. 함께 간호/간호 지식 & 간호 진로 2025. 5. 9. [건강관리] 저속노화(Slow Aging) – 늦출 수 있다면, 지금부터!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오늘은 ‘노화’를 주제로 이야기 나눠볼게요.그런데 그냥 ‘노화’가 아니라, 천천히 나이 드는 법, 바로 저속노화(Slow Ag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속노화란?저속노화란 말 그대로 노화의 속도를 늦추는 것을 의미합니다.‘동안’이나 ‘항노화’와는 조금 다르게, 몸과 마음이 나이에 비해 건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말해요.단순히 외모가 젊어 보이는 것이 아니라,면역력심혈관 기능인지기능근육량이런 신체적 기능들이 시간에 비례해 급격히 떨어지지 않도록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왜 중요한가요?노화는 자연스러운 생물학적 현상이지만,생활 습관에 따라 그 속도는 조절될 수 있습니다.✔ 같은 60세라도, 어떤 분은 정정하고 활기차지만✔ 어떤 분은 만성질환과 피로, 무기력에 시달리.. 스터디 미/건강관리_면역력 , 음식, 운동 2025. 5. 8. [건강관리] 투석이란 무엇인가요? feat. 투석안하게 신장 지키는 법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 오늘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의료 주제인 투석(透析, Dialysis)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병원에서 투석을 받는다고 하면 대부분 무언가 심각한 상황으로 받아들이시곤 하는데요, 실제로 투석은 신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할 때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치료 방법입니다.왜 투석이 필요한가요?신장은 혈액 속의 노폐물과 과잉 수분을 걸러내고, 체내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필수 기관입니다. 그러나 만성 신부전(신장이 지속적으로 제 기능을 못하는 상태)이나 급성 신부전이 발생하면 신체에 노폐물이 쌓이고 수분·전해질 불균형이 생기게 됩니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생명까지 위협받을 수 있기에, 인공적으로 신장의 역할을 대신하는 것이 바로 투석입니다.투석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투석은.. 스터디 미/몸 건강 2025. 5. 2. [건강관리]"피 한 방울로 알 수 있는 건강의 비밀 – 병원 피검사로 확인 가능한 질병들"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의 플로링즈 여러분💫오늘은 병원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강력한 검사 도구인 피검사(blood test) 이야기를 해보려고 해요.병원에 가면 ‘피 좀 뽑겠습니다~’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그런데 그 피 한 방울로 정말 많은 걸 알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여러분이 받은 피검사 결과에는 건강 상태에 대한 수많은 힌트가 숨어 있어요.✔️ 피검사로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질병들1. 빈혈 / 철분 부족검사 항목: 헤모글로빈(Hb), 적혈구(RBC), 혈청 철분(Fe)특징: 어지러움, 무기력, 창백한 얼굴여성이 특히 자주 검사받는 항목이에요.2. 간 질환검사 항목: AST(GOT), ALT(GPT), GGT, 빌리루빈확인 가능한 질환: 지방간, 간염, 간경변 등음주 후 수치가 확 올라가는.. 스터디 미/건강관리_면역력 , 음식, 운동 2025. 4. 30. [간호연구] 논문 쓰기 전 관문, IRB 접수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들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오늘은 연구를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IRB(임상시험윤리위원회) 접수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안내드리고자 합니다.IRB 심의는 연구의 시작점이자, 연구 대상자 보호를 위한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저 역시 실제 IRB 접수 경험을 통해 느낀 점과 실무적인 팁들을 공유드리고자 합니다.1. IRB 심의란 무엇인가요?IRB는 인간 대상 연구의 윤리적 타당성과 안전성을 검토하는 제도입니다.연구자가 수집하려는 정보가 참여자의 권리, 안전, 복지를 침해하지 않도록심의 기관이 이를 사전에 검토하고 승인하는 절차입니다.2. 연구 목적과 설계의 구체화가 필요합니다IRB 심의 신청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는연구 목적과 설계가 얼마나 명확하고 구체적인지입니다.목적이 불분명하거나 절차가 모호할 .. 함께 간호/간호 지식 & 간호 진로 2025. 4. 25. [건강관리] 혈당을 지키는 루틴 습관: 펜형 인슐린 주사기 – 당뇨환자의 든든한 파트너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간편하고 아프지 않게, 생활 속에서 혈당을 지키는 작은 습관.당뇨병 환자에게는 펜형 인슐린 주사기내 몸을 위한 배려이자 루틴인데요펜형 인슐린 주사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펜형 인슐린 주사기란?펜형 주사기는 말 그대로 펜처럼 생긴 인슐린 주사기예요.휴대가 쉽고, 1회용 주사기처럼 준비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어서많은 당뇨환자분들이 애용하고 있죠.✅ 주요 구성:본체(펜 형태)인슐린 카트리지 (내장 또는 교체형)주사 바늘 (사용 시마다 교체)투여량 조절 다이얼투여 버튼💡 펜형 인슐린 주사기의 종류속효성 인슐린 펜 – 식사 직전 사용 (ex. 노보래피드, 휴마로그 등)중간형 또는 지속형 인슐린 펜 – 하루 1~2회 꾸준히 사용 (ex. 란투스, 트레시바 등)혼합형 인.. 스터디 미/건강관리_면역력 , 음식, 운동 2025. 4. 24. [약이야기] 진통제 하면 타이레놀, 그 이름 뒤에 숨겨진 이야기 feat. 아세트아미노펜과 이부프로펜 비교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 타이레놀, 많은 사람들이 감기나 두통이 생길 때 가장 먼저 찾는 약물입니다.하지만 타이레놀의 주요 성분인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은 단순히 대중적인 진통제 이상의 의미를 지닌 성분입니다. 그렇다면 아세트아미노펜이 어떻게 진통 작용을 일으키는지, 그 기전에 대해서 알아볼까요?아세트아미노펜의 기원과 역사적 발전1. 아세트아미노펜의 합성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은 1893년에 마르셀르 뷔레(Marcellin Berthelot)라는 프랑스의 화학자에 의해 처음 합성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화합물이 의약적으로 사용되기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뷔레 박사는 아세트아미노펜을 아세틴(acetin)이라는 화합물에서 유래시켰고, 이 화합물의 기본적인 구조.. 스터디 미/건강관리_면역력 , 음식, 운동 2025. 4. 23. [미국 간호대학원 진학 준비] “에세이 잘 쓰는 법: 나를 담는 글, 진심이 실력을 이깁니다”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 미국 상위 간호대학원(DNP 등) 진학을 위한 에세이(Statement of Purpose/Personal Statement) 잘 쓰는 법을 정리해볼게요.왜 '에세이'가 가장 중요할까?미국 상위 간호대학원(DNP, MSN, NP 트랙)은성적이나 경력만으로는 나를 다 보여줄 수 없어요.진짜 관건은,“이 사람은 왜 간호사가 되고 싶은가?”“이 사람이 우리 학교의 가치와 맞는가?”를 글로 보여주는 것이에요.에세이 구성, 이렇게 써보세요① Hook – 나의 간호 이야기의 시작단순한 “소개”보다 진심이 담긴 순간을 넣어요.예:“ICU 환자의 눈을 마주치던 그날, 저는 진짜 간호가 시작된다고 느꼈습니다.”② Turning Point – 나를 성장시킨 경험임상경험, 연구, 자원봉사, 실습 .. 함께 간호/간호 지식 & 간호 진로 2025. 4. 17. [메디컬 잉글리쉬] 간호·의학 분야 영어 스피킹, 이렇게 하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어떻게 말해야 할지 떠오르지 않아요.""발음도 자신 없고, 실수할까 봐 겁나요."간호·의학 분야에서 영어 스피킹 실력을 높이는 건,단순히 언어가 아니라 "전문성과 공감"을 전달하는 기술입니다.오늘은 실무 간호사부터, 미래의 PMHNP(정신전문간호사), 연구자, 교수까지모두에게 도움이 될 의학 영어 말하기 실전 전략을 공유해볼게요.💡 간호·의학 영어 말하기, 왜 특별할까?일반 회화와 달리, 간호·의학 영어는✔ 전문용어(medical terminology)✔ 환자 중심 대화(patient-centered communication)✔ 상황 맥락(context-based language)을 동시에 요구합니다.예를 들어,“Have you been experiencing any sid.. 영어/메디컬 잉글리쉬 2025. 4. 16. [간호지식] 논문 저널 투고 시, 꼭 챙겨야 할 필수 체크리스트 안녕하세요 스텔라플입니다. 논문을 쓰는 것도 힘들지만, 투고 준비도 만만치 않죠.저널마다 Submission Guideline이 다르긴 하지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본 항목들을 오늘은 정리해보겠습니다.✅ 1. 초록(Abstract) 및 키워드길이 제한: 일반적으로 150–250 단어 이내.(특정 저널은 200단어 이하, 또는 250자(Character) 이하로 제한하기도 함)Structured Abstract를 요구하는 곳도 있음 (ex. Background, Methods, Results, Conclusion 등 구분)Keywords: 보통 3~6개, MeSH(MeSH terms)를 사용하는 곳도 있음✅ 2. 저자 정보(Authors’ Details)1저자(First author): 실제 논문을 주도.. 함께 간호/간호 지식 & 간호 진로 2025. 4. 15. 이전 1 2 3 4 ··· 26 다음